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성인기의 구분(2)

by mygoodlife 2024. 10. 23.
반응형

  노년의 의미

  노년의 기준도 성숙의 기준만큼 광범위하고 주관적이며 그것은 생물학적, 심리적 및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우선 생물학적으로 노년이나 노화의 기준은 생식능력의 상실, 흰머리, 신체적 감퇴, 만성적 질병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생식능력의 상실은 여성들에서만 일어나고 노화의 증후들은 큰 개인차를 나타내기 때문에 과연 노년의 시작시점이 언제인지를 알기 어렵다.

  심리적으로 개인이 노화하였다고 느낄 때를 노년의 기준으로 잡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신체가 더 이상 부드럽게 움직이지 않거나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어디에 두었는지 기억나지 않을 때 우리는 자신이 노화했다고 느낀다. 또한 심리적으로 지혜가 발달하였을 때를 노년의 시작으로 잡을 수도 있다. 문제는 노화의 지각시점이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고 사람에 따라 영원히 지혜롭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심리적 기준도 노년의 시작으로 적절하지 못하다. 

  노년의 사회적 기준으로는 조부모 역할의 시작과 직업으로부터의 은퇴, 부모의 사망 등이 있으며, 혼자서 움직일 수 없을 때도 그 기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사건의 시작시점 역시 개인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노년기 시작시점으로 잡기는 어렵다.

 

  성인기 발달단계와 발달과업

  일직이 허비거스트(Havighurst, 1972)는 성인발달 단계를 성인초기, 성인중기 및 성인후기로 구분하고 성인초기를 18세부터 35세까지, 성인중기를 35세부터 60세까지 그리고 성인후기를 60세 이상으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의 18세는 아직도 청소년으로 성인의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너무 어리다고 할 수 있으므로 18세를 성인기 시작시점으로 보기 어렵다. 또한 건강에 대한 관심은 중년기 시작을 지연시키고 60세 이후에도 직업역할을 수행하는 사람들을 증가시키므로 성인중기의 시작연령과 성인후기의 시작연령은 더 늦어지는 추세에 있다. 

  평균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어떤 연구자들(Moen & Spencer, 2006)은 성인후기를 다시 10년씩 구분하여 성인후기 초기(66-75세), 성인후기 중기(76-85세), 그리고 성인후기 후기(85세 이상)로 구분하기도 한다. 그러나 여기서는 레빈슨(Levinson, 1986)의 발달단계를 따라 성인기를 성인초기, 성인중기, 성인후기 및 성인후기의 후기로 구분하고 각 연령단계가 20년 정도 계속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우선 성인초기는 아네트(Arnett, 2000)의 연구에 기초하여 26세부터 45세까지, 성인중기는 45세부터 65세까지 그리고 성인후기는 65세부터 85세까지 그리고 성인후기의 후기는 85세 이후로 구분하였다. 

  허비거스트가 제안한 성인기 동안의 발달과업(developmantal task)을 보려고 한다. 발달과업이란 개인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기술이나 능력으로 특정한 연령이나 단계에서 개인이 성취해야 하는 활동이나 목표에 해당한다. 만약 한 단계에서의 발달과업의 성취가 만족스럽지 못하면 다음 단계의 발달이 지장을 받게 되므로 발달과업은 개인의 성공적 적응 여부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그러므로 발달과업의 성공적 성취는 곧 적응적 발달을 이루었다는 의미로서 개인을 행복으로 인도하고 이후 단계에서의 성공을 가능하게 한다. 반면에 그것의 실패는 개인을 불행하게 하고 사회로부터 인정받지 못하게 하며 이후 단계에서의 성취를 어렵게한다(장휘숙, 2009; Pinquart 등, 2004; Schulenberg 등, 2004; Seiffge-Krenke & Gelhaar, 2007). 더욱이 발달과업의 성취 여부는 정신건강이나 정신병리를 예언하는 지표의 역할도 하므로 발달심리학자나 발달정신병리학자들이 중요시하지 않을 수 없다.

  연구자들은 발달과업 중 특히 성인기 진입 여부를 결정짓는 성인초기의 발달과업에 큰 관심을 갖는다. 일찍이 에릭슨(Erikson, 1968)은 친밀감 탐색을 성인초기의 중요한 발달과업으로 설정하고 이성과의 친밀감 형성을 중요시하였다. 그러나 슐렌버그와 그 동료들(Schulenberg 등, 2004)은 교육과 일, 경제적 자율성, 낭만적 관계 몰입, 친구관계 몰입, 약물남용 회피 그리고 시민 의식을 성인초기의 특징적 발달과업으로 제시하였고 아네트(2000)는 경제적 독립이 성인초기의 중요한 발달과업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18세부터 39세까지의 한국인 2,603명(남:1,255명, 여:1,348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장휘숙(2008)은 허비거스트가 제안한 성인초기 발달과업 중에서 '마음이 맞는 사람과 사회적 집단을 형성한다'를 제외한 7개의 발달과업이 한국인의 성인초기 발달과업이라고 보고하였다. 7개의 발달과업 중 처음 5개의 발달과업은 배우자와 자녀를 포함하는 가족 관련 과업이고, 나머지 2개의 발달과업은 직업 및 시민의 의무와 관련한 과업이어서, 한국의 젊은이들은 성인초기 동안 사회적 관계의 형성보다는 오로지 가족과 직업 관련 과업을 중요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결과는 연구자들 간에 조금씩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성인초기의 발달과업이 존재하고 문화에 따른 변이가 있다고 할지라도 그 차이는 크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어느 시대 어느 사회에서나 각 발달단계를 의한 규범적 기대가 존재하므로 이 시대에서도 발달과업의 성취는 여전히 중요한 개인적 과업임이 분명하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발달 연구  (1) 2024.10.24
성인기 발달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들  (1) 2024.10.24
성인기의 구분  (3) 2024.10.23
왜 성인기 발달을 연구하는가  (2) 2024.10.23
성인기 발달의 특징과 연구방법  (1) 2024.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