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3 성인연구 설계법 횡단적 설계와 종단적 설계의 차이는 전자가 몇 개의 서로 다른 출생동시집단에 속하는 사람들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반면, 후자는 동일한 출생동시집단에 속하는 사람들을 연구대상으로 한다는 것이다. 만약 횡단연구 결과, 현재 70세의 노인들이 현재 20세의 젊은이들보다 트로트 음악을 더 좋아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할지라도, 현재 20세인 사람이 70세가 되었을 때 트로트 음악을 더 좋아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현재의 70세 노인과 20세 젊은이는 각기 다른 출생동시집단에 속하기 때문이다. 현재의 70세 노인들은 그들이 20세였을 때 이미 트로트 음악을 좋아하였지만, 현재의 20세 젊은이들은 트로트 음악이 아닌 K-pop을 더 좋아하므로 그들이 70세가 되었을 때 트로트 음악을 더 좋아할 것.. 2024. 10. 24. 성인발달 연구 노인 여성들에게는 중다의 편견이 적용된다. 소위 중다위험가설(multiple jeopardy hypothesis)에 의하면, 노인 여성들은 노인이기 때문에 그리고 여성이기 때문에 고정관념적 태도에 기인한 이중적인 부정적 편견에 시달린다. 이와는 달리 여성이든, 남성이든, 소수집단이든, 노인이라는 사실 하나만으로 연령차별주의에 시달리게 되므로 노인 여성들이라고 해서 특별히 불리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더욱이 여성들은 여러 해 동안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아 왔기 때문에 연령에 기인한 고정관념에 이미 면역되어 있으므로(예방접종가설, inoculation hypothesis), 예방접종을 받은 일이 없는 노인 남성들이 더 힘들게 연령차별주의에 견디지 않으면 안 된다는 주장도 있다. 연령차.. 2024. 10. 24. 성인기 발달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들 성인기 발달을 설명할 때 자주 등장하는 개념들이 있다. 사회적 시계(social clock)와 연령 및 연령차별주의(ageism) 그리고 중년기 위기(midlife crisis) 등이 그것이다. 사회적 시계 사회적 시계란 중요한 인생사건들이 일어날 것으로 기대되는 연령으로 특정 사회가 규정하는 규범적 연령이다. 일반적으로 결혼이나 자녀양육, 은퇴 혹은 조부모 되기와 같은 중요한 인생사건들은 그 사회 내의 합의된 연령규준에 따라 수행된다. 따라서 개인의 발달은 특정한 인생사건들이 이 연령규준에 맞추어 전개되는지 아니면 이 연령보다 늦게 혹은 일찍 전개되는지에 따라 평가된다. 만약 어떤 사람이 사회적 시계를 따르지 않는 생활을 한다면, 타인으로부터 비난을 받고 개인적 괴로움을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2024. 10. 24. 성인기의 구분(2) 노년의 의미 노년의 기준도 성숙의 기준만큼 광범위하고 주관적이며 그것은 생물학적, 심리적 및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우선 생물학적으로 노년이나 노화의 기준은 생식능력의 상실, 흰머리, 신체적 감퇴, 만성적 질병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생식능력의 상실은 여성들에서만 일어나고 노화의 증후들은 큰 개인차를 나타내기 때문에 과연 노년의 시작시점이 언제인지를 알기 어렵다. 심리적으로 개인이 노화하였다고 느낄 때를 노년의 기준으로 잡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신체가 더 이상 부드럽게 움직이지 않거나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어디에 두었는지 기억나지 않을 때 우리는 자신이 노화했다고 느낀다. 또한 심리적으로 지혜가 발달하였을 때를 노년의 시작으로 잡을 수도 있다. 문제는 노화의 지각시점이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 2024. 10. 23. 성인기의 구분 종단연구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아동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종단연구의 연구대상자들이 성장하여 성인기에 접어들게 됨으로써 연구는 자연스럽게 성인기 연구로 전환되었다. 연구자들은 여러 해 동안 연구해 온 연구대상자들이 성인기에 도달하였을 때 연구를 중단하지 않고 계속함으로써 성인기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고, 그것은 아동기 경험과 성인기 사건들을 연결 지을 수 있도록 하였다. 버클리 성장연구를 포함한 여러 종단연구들의 결과로, 성인기의 신체적 노화, 건강과 행동, 성격, 직업생애 발달, 지능 등 다양한 영역의 발달이 규명될 수 있었다. 성인기에 관한 체계적 연구 성인기에 관한 최초의 체계적 연구는 1958년 미국 국립노화연구소의 전신인 미국 국립보건원의 노년학 분과회장인 네이선 쇼크 박사에 의해 시.. 2024. 10. 23. 왜 성인기 발달을 연구하는가 발달은 다학제적이다. 인간발달은 중다학문적 지식을 요구한다. 개인은 일생 동안 한 사람의 유기체로 생활할 뿐 아니라 특정한 역사적 시기의 사회환경 내에서 가족을 포함한 여러 사람들과 어울려 생활하기 때문에, 개인의 발달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심리학적 지식은 물론 생물학, 신경과학, 사회학, 인류학, 역사학, 가족학 혹은 가족심리학의 지식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발달심리학자만으로는 이러한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개인들을 연구하기 어려우므로 관련 학문분야의 연구자들과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전생애 발달에 대한 더 효과적 접근방법이다. 최근에 인간발달에 관심 갖는 여러 학문분야의 연구자들을 통틀어 발달연구자(developmentalist)하고 하고 그들이 연구하는 학문을 발달과학(sciences .. 2024. 10. 23. 이전 1 ···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