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32 자아통합 대 절망- 성인후기 자아통합 대 절망 - 성인후기 에릭슨이 제안한 심리사회적 발달의 마지막 단계는 자아통합 대 절망(ego integrity versus despair)이다. 그러나 자아통합에 대한 에릭슨의 생각은 그의 연령과 함께 변화하였다. 에릭슨이 처음 이 개념을 제안하였을 때 그는 중년 성인으로 낙관주의적인 관점에서 인생의 최종적 발달을 가정하고, 자아통합을 자신이 살아온 인생을 수용하고 두려움 없이 죽음에 직면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즉 어떤 방식으로든 타인이나 사물을 돌보고 보살핀 사람은 인생의 유한성과 실망을 극복하고 승리감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가 70-80대에 이르렀을 때, 에릭슨은 인생의 최후 단계를 보다 더 부정적으로 지각하였다. 그는 다가오는 죽음에 기인된 혼란과 무력감.. 2024. 10. 26. 에릭슨의 정체감 발달이론 8단계의 심리사회적 이론 에릭슨(Erikson, 1950, 1982)은 개인 내적 동기와 사회문화적 요구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심리사회적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고, 후성적 원리란 인생주기의 각 단계는 그 단계가 우세하게 출현되는 최적의 시기가 있고, 각 단계는 전 단계의 심리사회적 위기의 해결을 토대로 한다는 것이다. 에릭슨의 8단계는 긍정적 요소와 부정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심리사회적 위기(psychosocial crisis)로 구성된다. 심리사회적 위기란 발달의 각 단계에서 사회적 환경의 요구에 적응하기 위한 심리적 노력으로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긴장으로 정의된다. 에릭슨 이론에서 위기의 긍정적 해결은 성장하는 자아 속에 통합되어 건전한 발달을 주도하게 된다. 물론 위기가 계속되거나.. 2024. 10. 26. 성인연구에서 고려할 점 기본적인 윤리적 문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아동이나 청년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미국심리학회가 제정한 윤리적 기준을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 중요한 것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존엄과 자율성, 공평성이 보장되고 연구대상자는 위험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문서화된 연구참여 동의서(informed consent)가 요구되고 연구대상자에 대한 인도적 처우가 보장되어야 한다. 불가피한 속임수도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연구대상자 개인의 비밀이 보장될 수 있어야 한다. 치매를 앓고 있는 노인이나 장기간 요양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노인들과 같이 직접적으로 연구참여 동의서를 받을 수 없는 대상자에 대해서는 보호자나 시설기관장의 동의서가 첨부되지 않으면 연구가 이루어질 수 없다. 성인 .. 2024. 10. 25. 자료수집 방법 자료수집 방법 연구설계가 결정되고 연구대상자가 선정되면 그들로부터 어떻게 정보를 수집해야 할지 결정되어야 한다. 아래에 간략하게 제시된 각 자료수집 방법은 그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지니고 있다. 관찰 자연상황에서 연구대상자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눈으로 보면서 기록하는 자료수집 방법이다. 관찰은 아동연구에서는 흔하게 사용되지만,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성인에 대한 관찰은 특별히 고안되거나 인공적 상황에서 대단히 드물게 이루어지며, 특히 알츠하이머 환자와 같이 자기 지각이 결여된 노인들에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실제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성인기 정보의 대부분은 성인들에게 직접 질문하여 수집한 자료들이다. 면접 연구대상자에게 직접 질문하는 가장 흔한 방법 중의 하나로서 .. 2024. 10. 25. 계열설계법 계열설계법(sequential design)은 횡단적 설계법과 종단적 설계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샤이(Schaie, 1965, 1996)에 의해 개발되었다. 계열설계법의 장점은 종단적 설계법에서 소요되는 기간의 1/2밖에 소요되지 않으며 출생동시집단 효과를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계열설계법에는 횡단적 계열설계법과 종단적 계열설계법이 있으며 두 개의 설계법을 혼합한 계열설계법(샤이가 제안한 가장 효과적인 설계법)도 사용될 수 있다. 종단적 계열설계법은 2개 이상의 종단연구로 구성된다. 20세부터 80세까지의 연령변화를 종단적으로 연구하려고 한다고 하자. 먼저 1990년에 20세인 사람(1970년 출생동시집단)을 표집 하여 그들이 80세가 될 때까지 10년마다 재검사를 실시하면 이것은 단순한 종단연.. 2024. 10. 25. 성인연구 설계법 횡단적 설계와 종단적 설계의 차이는 전자가 몇 개의 서로 다른 출생동시집단에 속하는 사람들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반면, 후자는 동일한 출생동시집단에 속하는 사람들을 연구대상으로 한다는 것이다. 만약 횡단연구 결과, 현재 70세의 노인들이 현재 20세의 젊은이들보다 트로트 음악을 더 좋아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할지라도, 현재 20세인 사람이 70세가 되었을 때 트로트 음악을 더 좋아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현재의 70세 노인과 20세 젊은이는 각기 다른 출생동시집단에 속하기 때문이다. 현재의 70세 노인들은 그들이 20세였을 때 이미 트로트 음악을 좋아하였지만, 현재의 20세 젊은이들은 트로트 음악이 아닌 K-pop을 더 좋아하므로 그들이 70세가 되었을 때 트로트 음악을 더 좋아할 것.. 2024. 10. 24. 이전 1 ··· 18 19 20 21 22 다음